










감염병동
| CRE | VRE |
|---|---|
|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종으로 인한 감염증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으로 반코마이신을 포함한 Glycopeptide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인한 감염증 |
면역저하 환자, 만성기저질환자,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에게서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이 유발될 수 있으며 병원체 보유자와의 접촉으로 인해 감염이 되기도 함
감염부위에 따라 각종 기회감염증을 일으키며 요로감염, 창상감염, 균혈증 등 감염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양. 인공호흡장치, 중심정맥관, 도뇨관을 사용하고 있거나 외과적 상처가 있는 중환자는 감염위험이 높음
따로 격리하여 항생제 감수성을 파악한 후 감수성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
1. 격리병실 개별화장실 구비
2. 전담 의료진 구성
3. 철저한 소독관리 실시
4. 전담 간병인 구성
5. 감염환자를 위한 전문재활치료와 신장투석 가능
1. CRE/VRE 진료소견서 의뢰를 통한 입원문의
2. 담당의 상담 후 감염병동으로 배정, 입원수속
3. 안전한 감염병동 내에서 입원치료
4. 감염해제 후 일반병동으로 이동, 일정 시간 관찰 후 퇴원
환자의 권리장전
환자의 권리장전
환자의 의무
개인정보보호방침
[김포서울대효요양병원 개인 정보 보호 방침]
| 김포우리병원 | 뉴고려병원 | 이대서울병원 | 이대목동병원 |
| 서울특별시 서남병원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검단 탑 종합병원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일산백병원 | 국제성모병원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